카카오톡과 카카오페이를 통한 현금 결제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 중에는 ‘현금영수증’ 발급에 대한 부분을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 ‘1분미만’ 채널에서는 ‘카카오톡·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발급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영상을 공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카카오톡에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방법
- 카카오톡 앱을 실행한 후 ‘더보기’ 창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한다.
- 그 다음 ‘개인/보안’을 누른 뒤, ‘내 결제’를 선택한다.
- 그 다음으로 ‘현금영수증 발행정보 관리’를 누르면 발급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 하단에 있는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고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개인소득공제(휴대폰), 개인소득공제(현금영수증카드), 지출증빙(사업자용), 지출증빙(현금영수증카드) 중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하단에 있는 ‘현금영수증 발행을 위한 정보수집에 동의’ 칸을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발급이 완료된다.
영상에서는 “카카오톡에서 ‘현금영수증관리’를 들어가면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현금영수증 정보를 등록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자진발급됩니다’라는 기본 문구가 뜰 것”이라며, “하지만 이 문구를 보고 대부분 사람들이 ‘아따 등록을 안 해도 자동으로 현금영수증 등록을 해주는구나’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 ‘자진발급’이라는 말은 구매자 신분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발급을 요청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휴대폰 번호 등이 아닌 국세청 지정코드(
010-0000-1234)로 발급 가능하다는 말이다. 즉, 국세청 홈페이지에 별도로 신고를 해야만 현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으면 연말정산 등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보통 신용카드 사용액은 15%가 소득공제에 해당하지만 현금영수증은 3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현금영수증을 잘 활용하면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금영수증을 제대로 발급받지 않으면 연말정산에서 손해를 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1분미만’에서 소개한 현금영수증 발급 방법을 꼭 숙지해 두는 것이 좋다.